유모어

[스크랩] 지금의 경제는 무엇이 잘못되었나?

자유지향 2011. 3. 30. 21:39

 

WHAT IS WRONG WITH OUR ECONOMY?
[지금의 경제는 무엇이 잘못되었나? ]

In a previous article, I have mentioned the system of rent and interest, our current economic system in other words. The present writing is a somewhat closer look at this system, especially at the reason for and the consequences of interest on debt.

[나는 앞서 현 경제시스템의 다른 표현인 임대료와 이자의 시스템에 대해 설명했었다.  이 문건은 이 경제시스템에 대한 좀더 세부적인 설명이며, 특별히 그 이유와  부채에 대한 이자의 결말에 중점을 두었다.]

 

Let's assume as one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 just economic order, that the income of the individual should be dependent on his or her production, on the person's effectiveness. This will lead to differences in income but it will not result in an unjustified or disproportional accumulation of capital and thereby power.

[자, 이제 경제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에대해 생각해보자. 개인의 소득은 그/그녀의 생산물, 그 사람의 효율성에  근거해야만 한다. 이것은 소득의 차이가 정당하지 않은, 또는 불균형적인 자본의 축적에서 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rinciple of exchange is one of the fundamental laws of human society. We can approximate this principle by saying that income and outgo, or in other words production and reward, should be in balance. No one should get an income for which he does not have to work (excepting of course assistance to the needy) and on the other hand, no part of our well-earned income should be withheld from us.

[상호교환의 원칙은 인간사회의 기본적인 원칙이다.  우리는 소득과 지출이라는 용어로 이 원칙에 접근한다. 또는 다른말로 생산활동과 보수라는 말로 표현되며 이 두가지는 균형을 이루어야만 한다. 아무도 필요치 않은 일에서 소득을 얻으면 안된다. 다른 표현으로, 우리가 부지런히 일해서 얻은 소득의 일부분이라도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면 안된다.]

 

However, we all know that the present (capitalistic) system leads to an exactly opposite effect: a few get richer and richer through the work of a large but powerless majority.

[그러나, 우리 모두는  현재의 자본주의 체계가 정확히 반대의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극소수가 힘없는 대다수의 노동력을 통해 점점더 부자가 되어간다.]

 

 

THE MECHANISM OF INTEREST
[이자의 메카니즘] 

The mechanism that brings about this effect is simple and ingenious. It is the mechanism of interest, which, through the yearly addition of interest to the capital and the calculation of interest upon interest, leads to an exponential growth of accumulated capital, without requiring direct production. This distorts competition and violates the principle of exchange.

[이런 효과의 메카니즘은 단순하고 교묘하다. 이자의 메카니즘은, 특정 자본에 1년 단위의 이자가 붙고 이자에 이자, 즉 복리가 붙어,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는 자본은, 생산과는 무관하며, 이것은 경쟁원리와 교환의 원칙을 위반한다.]
 

 

In order to get an idea of the complete absurdity of this mechanism, let's imagine that someone invested one cent at the time of Christ's birth, for a moderate yearly interest of 4 %. In our time, all the riches of the earth would not be sufficient to pay back this penny with the accumulated interest and the interest upon interest. In fact, even if we had a clump of gold the size of our planet, it would be far too little to pay off the debt owed to the astute and long-lived investor.

[이 메카니즘의 완전한 불합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누군가 예수가 탄생하던 해에 1센트를 투자하여 연리 4 %의 이자를 얻는다고 상상해보자. 그렇다면, 그 금액은 오늘날 이자의 이자, 또 이자가 붙어 지구상의 모든 재화를 합친다 해도 갚을 수가 없는 금액이 될 것이다.  사실, 만약 우리가 지구크기 만한 금덩어리를 가지고 있다해도 교활하게 오래사는 투자가의 빚을 갚기에는 턱없이 부족할 것이다.]
 

 

Even if though the creditor does not need to directly produce, in order to receive interest, the profit represented by the interest has to be produced by someone. In fact, the work necessary to pay interest on a global scale is done by that part of the population (probably greater than 95 %) that is earning it's income without being capitalists, that is, without living majorly from investment and the resulting interest.

[채권자가 직접적인 생산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해도, 이자를 받아내기위해, 이자로 표현되는 이익은 누군가에 의해 생산되어져야만 한다. 사실, 이자를 지불하기위해 자본가가 아닌 전세계 인구의 95 % 이상의 인구가 일을 해야만 한다. 이들은 투자 또는 이자소득에 의하지 않고 노동만을 주소득으로 하는 계층이다.]

 

 

This mechanism is not very obvious, because interest is hidden as a percentage in all prices we normally pay. This is the more dangerous as we do not see the interest and so cannot fight against it.

[이러한 메카니즘은 명확하지 않고 모호한 경우가 많은데, 그것은 우리가 보통 지불하는 모든 물건의 가격에 몇 퍼센트의 비율로 이자가 숨어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더 위험한데, 그것은 우리가 이에 대항하여 싸우기 힘들 게 되기 때문이다. ]

 

The percentage of interest hidden in prices is somewhere between 30 and 70 % and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producer, the builder, the businessman have to "serve" the capital needed to produce the goods, to build the houses or to deliver their services. In other words, their investments cost them interest. The percentage of interest is especially high in house or office rents, as mortgages require long-term financing and consequently more interest. Often more than 70 % of the rent figure is not caused by building costs but by interest!

[가격에 포함된 이자는 보통 30 - 70% 정도이고, 이것은 생산자와 제조사, 사업가가 물품의 생산과 건물의 건축, 용역의 운송을 위해 필요한 자본에 대해 "봉사"를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다른말로 하면, 그들의 투자는 이자를 지불해야만 한다. 집이나 사무실 임대의 경우 특별히 높은 이자가 적용되어 담보융자등은 장기간의 설정과 결국 더 많은 이자를 생산해 낸다. 자주 임대료의 70 % 이상은 건축비가 아닌 이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Salaries are of course subject to the same treatment and so the working person pays twice to the capitalist: once because his salary is lower than it should be and a second time when he pays his rent or buys the things he needs for his survival: food, clothing, household appliances, water, energy, transport, even our free time is taxed mercilessly by that same mechanism.

[급여 또한 똑같은 원리로 되어있어 노동력을 제공하고 급여를 받는 사람은 이중으로 자본가에게 이자를 지불한다: 첫 번째 그의 급여는 그가 제공한 노동의 대가보다 낮고  두 번째는 그가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음식, 옷, 집, 가구, 물, 에너지, 운송수단, 급기야 우리의 자유시간까지 똑같은 메카니즘으로 무자비하게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이다.]

 

This becomes even more obvious if seen in the context of the finances of a country, because some 30 to 40 %, and that is a respectable amount of billions of dollars, goes not to education, building infrastructure, keeping up the state bureaucracy or even defense, no - it goes to pay interest! The single largest item of expense in many a national budget is what is called "debt service". That money goes to those persons and societies that have lent money to the country against treasury bonds or other instruments of debt issued by the government.

[이것은 한 나라의 재정을 파악하면 더 명확해진다. 30% 에서 40 %, 수백만 달러의 돈이, 교육과 인프라의 건설, 주정부의 유지비, 국방비등으로 쓰이지 않는다. 이것은 이자를 지불하는데 사용된다! 많은 나라의 예산에서 가장 큰 비용으로 차지하는 것은 "빚에 대한 이자" 이다. 이 방대한 돈이 국공채등과 기타 정부발행의 채권에 대해 빌려준 소수부호들의 지역으로 들어간다.]
 

 

It should be interesting to follow the current budget discussions and see how many billions of dollars the federal government spends for the payment of interest on its debt, an expenditure that is of course our own as the country's income is based on the taxes paid by the individual citizen.

[년간 수백만 달러가 빚의 이자로 지출되는 정부의 예산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 될 것이다. 이것은 물론 시민 개개인이 지불한 세금을 기반으로 한다.]
 

 

Far worse off are the countries of the third world, whose interest payments have become outright nightmares. Those countries all use a large part of their export earnings to pay the usurious interest rates demanded from them, without having a realistic possibility of ever paying back their debts. As a whole,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or rather their banks and the capital interests behind these are sucking more out of the third world every year in terms of money and raw materials than gets given to these countries - even considering third world loans and the pennies that are called "development aid".

[이것은 제 3세계와 개발도상국가에서는 더 심각해서, 그들 나라들에서는 이자의 지불은 악몽 그 자체이다. 이들 국가들은 실제적인 부채상환능력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고리의 돈을 빌렸고, 그 막대한 이자를 갚기위해 수출에 의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결국 전체적으로는, 소위 선진국 또는 그들의 은행들, 그 뒤에서 자본이득을 취하는 세력들은 그들이 제 3세계에 보태어준 것보다 훨씬 많은 돈과 천연자원을 제 3세계로부터 수탈하여가고 있다. 더욱이 그들은 "개발원조"라는 명목으로 제 3세계에 돈을 융자한다.]

 

THE CAPITALIST SYSTEM
 [자본주의 체계]

 

The stock exchange was originally established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capital for productive societies, through the issue of stocks or bonds which, with a promise of interest, would attract investors. Today this function has become largely incidental and the game has degraded into one of speculation. There is speculation with "futures", that is, with future prices of goods. Currency speculation is making up a large part of the international buying and selling. "Junk bonds" are used to finance hostile takeovers of companies, which are then more often than not ruined by "asset stripping", i.e. selling off the most promising parts, to regain finances for the repayment of the bonds.

[주식의 교환은 원래 생산사회에서 자본의 공급을 목적으로 생겨난 것이다. 주식과 증권의 발행을 통해 이익의 분배를 약속하고, 투자자들을 모집한다. 오늘날 이것의 기능은 일반화되어 투기와 사행으로 변질되어 버렸다. 이것은 "미래"에 대한 도박이다. 즉, 미래의 상품가격에 대한 투기이다. 통화투기는 대부분 국제적인 거래를 통하고 있다. "정크본드"는 적대적 기업합병에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가장 가치있는 부문의 "자산 매각"을 통해 증권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 재정을 재확보하여 살아남는 것 보다 더 자주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

주)정크본드: 신용등급이 높아 투자적격업체에 속했던 기업이 경영악화나 실적부진으로 신용등급이 급격히 낮아졌을 때 과거 그 기업이 발행했던 채권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최근에는 그러한 악성채권뿐만 아니라 성장성은 잇으나 신용 등급이 낮은 중소기업이 발행한 채권, 혹은 기업의 매수·합 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채권 등을 광범위 하게 지칭하는 개념이 되었다.


 

 

Black Fridays and black Mondays are costing the small investors immense sums of saved-up capital and enrich those who "predicted" or rather precipitated the crash. Dog eat dog, a rather rough game.

[검은 금요일과 검은 월요일등은 개인 투자자로 하여금 방대하게 축적된 자본에 투자하게 만들고 파산을 "예상"하거나, 아니 좀더 구체적으로 그것을 "계획"한 사람들의 배를 불려준다. 투견장의 투전판과 같다.]
 

 

 

THE BANKS
[은행] 

The situation with the banks is not much better. They are "respectable" partners in the same games of speculation and many of them, to use a somewhat direct expression, are "drug addicted". A large part of their cash flow is based on the proceeds of illegal drug dealing and other such activities. An effective control has not been possible so far and it even seems that the laws against drug abuse and drug dealing, far from stopping the drug business, are the very guaranty for its success. In fact, the prohibition of drugs, just as half a century ago the prohibition of alcohol, is establishing a very lucrative monopoly for those ruthless enough to get into the business, and the yearly income from illegal drug sales internationally has hit hundreds of billions of dollars.

[은행들의 상황도 더 나을 것이 없다. 그들은 직접적 표현으로, "약물중독"된 대다수 투자자들의 투기게임에서 "신뢰할 만한" 동반자이다. 그들 현금흐름의 많은 부분은 불법 마약거래와 관련 활동으로 얻어진 것들이다. 약물남용과 마약거래를 금지하는 법규정은 마약사업을 중지시키는 것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그것의 성공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진정 마약거래의 효과적 통제는 불가능하다. 사실 마약거래의 금지는, 바로 반세기전 알코올의 금지와 똑같은 것으로, 그것의 독점세력에게 돈벼락을 맞게 해준다. 불법적인 국제마약거래로 그들은 해마다 수천만 달러의 소득을 올리고 있다.]

 

In addition to recycling the proceeds of drug sales, the banks are the collection agencies for interest, without which no money is to be had, be the need ever so urgent, the purpose ever so noble. The countries of the third world are largely under the management of the banks. They do not get credits and cannot even negotiate the terms of repayment of their debts, without first declaring, by means of "letter of intent", that they are willing to apply the recipes given them for their economies by the world bank and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hich more often than not include a lowering of the often already pathetic standard of living of their population, the sale of their industrial capacity and raw materials to international speculators and a forced agenda of population control, which means sterilization of the women of childbearing age.

[마약판매대금의  세탁과 함께, 은행들은 결코 고상한 목적이 아닌, 가져서는 안되는, 급하지 않은, 이자라는 돈의 수집기관이다. 제 3세계의 나라들은 이들 은행의 경영지배를 폭넗게 받고 있다. 이들 나라들은 신용등급이 낮아 그들 부채의 상환기간에 대해 협상조차 할 수 없고, "동의서"의 발표도 없이 자국의 경제회생에 대한 세계은행이나 IMF의 처방을 기꺼이 받아들인다. 그 처방이란 것은 자주 그렇잖아도 낮은 국민대중의 생활수준을 더 낮추고, 그들의 산업설비와 천연자원을 국제투기꾼들에게 매각하며, 가임여성들에게 불임시술을 하는등의 강제적 인구정책을 시행하는 것이다. ]

 

COMMUNISM
[공산주의]
 

Even communism has never had a real alternative to the capitalistic system of interest. The countries of eastern Europe and what was formerly the Soviet Union, which are orienting themselves now towards the "free market" economy, are just as much in debt, with the same international moneylenders, as the countries of the third world and some of the industrialized nations of the west. Marx and Engels saw the exploitation of the "masses" as rooted in the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They did not see, however, that the owner of the means of production is just as far from being a capitalist as the worker himself. Both in fact have to bring sacrifice to the same god - interest.

[공산주의 조차 자본주의 체계의 이자에 대해 완전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자유시장" 경제로 선회한 동구 유럽국가들과 과거의 소련은 제 3세계의 국가들과 서구의 일부 선진국들에게 돈을 빌려준 바로 그 국제 대금업자들에게로부터 똑같이 많은 빚을 지고 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생산도구의 개인소유에 근거한 "노동자"의 착취를 발견했지만, 생산도구의 소유자들은 노동자들과 같은 자본주의자가 절대 아님을 발견치 못했다. 두가지 모두 신과 이자에 대해 희생을 가져와야만 한다. ]
 

 

 

WHY INTEREST?
[왜 이자인가?] 

From the time man has started to use money as a means of exchange, he was always in a dilemma: how to reconcile the double function of money - means of exchange and means of saving.

[인류가 교환의 수단으로 돈을 이용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사람들은 항상 한가지 딜레마에 봉착했다: 교환의 수단과 축적의 수단으로써의 돈의 두가지 기능을 어떻게 조화시키는가.]
 

 

As a means of exchange, money must circulate. It must be available to buy and sell goods and services, because barter - the direct exchange of goods against goods or services against goods is too cumbersome and is impossible to realize once the group whose members want to interchange becomes too large.

[교환의 수단으로서, 돈은 순환해야만 한다.  바터제 ( 물물교환 - 물건과 물건, 또는 물건과 용역 )는 너무나 번거롭고, 교환을 원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을 경우 한번에 거래할 수가 없기 때문에, 돈은 물건과 용역을 사고 팔 수 있어야만 한다. ]

 

However money, at first mostly a "valuable" or at least a rare substance, has to be available in an amount exactly corresponding to the goods and services that are available to be exchanged. If too much money is in circulation, the result is inflation, prices rise. In the opposite case prices fall, commerce is hindered, production crashes and the economy fails. The direct result is recession and crisis. The constant cyclic ups and downs of economic expansion and economic crisi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amount of money in circulation with relation to the goods and services produced.

[그러나 돈은 처음에 대부분 "귀중품" 또는 최소한 희귀한 실질적 가치로써, 정확히 교환하고자 하는 물건과 용역의 가치만큼만이 사용되었다. 만약 너무 많은 돈이 유통되면, 결과는 인플레이션을 가져오고, 값이 상승한다. 반대의 경우는 값이 떨어지고 상업활동은 위축되며, 생산은 정지되고 경제는 파산한다. 직접적인 결과는 경기침체와 경제위기이다. 경제의 확장과 위기를 일정 주기로 반복하는 것은 생산된 상품과 용역에 연결되어 유통되는 돈의 량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Due to the double function of money however, and in part due to the relative scarcity or abundance of gold or other substances used to mint money, it was almost impossible to keep the amount of money in relative balance with the amount of goods. The saving of money had the effect of lowering the amount of money in circulation and often showed devastating effects on the economy.

[그러나 돈의 이러한 이중적 기능 때문에, 그리고 돈을 주조하는데 사용되는 금이나 기타 다른 물질이 부족하기도 하고 남기도 함으로, 유통되는 돈의 량을 유통되는 상품의 량과 정확히 균형을 맞춘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돈의 축적은 유통되는 돈의 량을 줄임으로써 경제를 황폐화 시키는 효과를 보여준다. ]
 

 

In order to entice at least a part of the savings back into circulation, the practice of paying interest was a logical step. The person who had saved money was given a reward for letting his savings once again circulate as a means of payment, and that reward was called interest.

[개인이 축적하고 있는 돈을 최소한 일부라도 시중으로 다시 유통시키기 위해, 이자의 지불은 필연적으로 시행되었다. 돈을 저축한 개인은 그의 돈을 다시 시중에 유통시키는 것의 대가로 보상을 받았는데, 그 보상은 "이자"라고 불리워졌다.]
 

 

The excesses and dangers connected with this practice became obvious quite early on, and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 keep the excesses under control. Usury was declared a crime and the Christian Church as well as the religion of Islam forbade their members to loan money against interest. What was not done however, was to separate the two opposing and incompatible functions of money.

[이자제도의 시행과 관련하여 그 과잉효과와 위험은 일찍부터 명백했고, 그래서 그것을 통제하려는 여러 가지 많은 시도가 있었다. 고리대금업은 불법화 되었었고, 기독교와 이슬람은 신도들에게 금전의 대부를 금지시켰었다. 그러나 끝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서로 반대되고 양립될 수 없는 돈의 두가지 기능을 분리시키는 것이었다. ]
 

 

The role of money lenders was thus given to the Jews and in fact even to this day Jews continue to gravitate in a certain sense to the banking and money business. This in fact is not an inborn racial or religious preference, but came about through an agreed upon historical separation of roles. It is no wonder therefore, that the first large european banking houses were in the hands of jewisch families.

[금전 대부업의 기능은 유대계통에 주어졌고 사실 오늘날까지 유대계통은 은행업과 금융업에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민족이나 종교의 선민적 특권이 아니고, 단지 역사를 통해 인정된 역할의 분리로부터 온 것이다. 그러므로 유럽의 가장 손꼽히는 은행가문들이 유대가문에 속해있다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The fact that a Hitler could come along and use this to justify his persecution of Jews which in Nazi Germany led to untold suffering and catastrophe, only goes to show our absolute lack of comprehension of these matters.

[나찌독일의 히틀러가 이런 이유로 유대인들을 탄압하였다고 하는 것은 이 사실에 대한 우리들의 이해가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
 

 

Even today, the central banks use interest in the form of the discount rate as a means to steer the economy. Instead of directly influencing the amount of money in circulation, the economy is "regulated" with the mechanism of interest, with more than doubtful results.

[오늘날 조차,  중앙은행들은 이자율의 조정을 통해서 경제를 좌지우지한다. 돈의 유통량을 직접 조절하는 대신, 경제는 좀더 확실한 이자의 메커니즘을 통해 "통제"되고 있다. ]

 

Besides leading to an unjust distribution of capital through the automatic accumulation of debts and the automatic increase of capitals, the mechanism of interest has another shortcoming: It cannot function below a certain percentage. When interest is less that 2 - 3 %, it loses its effectiveness in enticing money into circulation. People prefer to keep their money if they do not find a rewarding opportunity for investment.

[자동적으로 불어나는 부채와 자동적으로 불어나는 자본을 통해 부의 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 말고도, 이자제도는 또 다른 결함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어떤 퍼센티지 이하에서는 기능을 하지 못한다. 이자율이 2 - 3 % 미만이 되면, 이것은 돈을 유통순환체계속으로 끌어내지 못한다. 사람들은 투자에 의한 보상이 없다고 생각하면 그들의 돈을 내놓지 않는다.]
 

 

 

THE SOLUTION
[해답] 

What would be the solution to this riddle that has plagued us for centuries? It is not as complicated as most economists would have us believe. A man called Silvio Gesell has pointed out these pitfalls and worked out a solution already in the early part of this century.

[수세기 동안 우리를 농락한 이 수수께끼에 대한 답은 무엇일까? 그것은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말하듯 그렇게 어렵고 복잡한 것이 아니다. 이미 금세기 초 Silvio Gesell 이라는 사람은 그 마수와 같은 함정을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집어내었다.]
 

 

Why was his voice not given consideration? It seems that may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power of those who live mainly from interest - those we should rightfully call capitalists.

[왜 그의 목소리가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았는가? 이는 이자를 주소득으로 하며 살고 있는 사람들의 힘 - 우리가 지당 자본가라고 부르는 - 에 의해 방해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The essential points of a program of change would have to be the following:

[이 변화 프로그램의 핵심은 다름과 같다: ]

 

 

Interest can no longer be used as a regulating mechanism for the economy.

[경제를 조정하기위한 이자제도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

The functions of means of savings and means of exchange must be well separated from each other.

[저축을 위한 기능과 교환을 위한 기능을 서로 단절시킨다.] 

The circulating amount of money must be linked to the amount of goods and services offered, in order to achieve an absolute stability of prices - preventing both inflation and recession.

[유통되는 화폐의 량은 정확히 상품과 용역의 량과 일치시킨다. 이것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방지하고 가치의 절대균형을 얻기위한 방법이다.]
 

That part of the money that should function as a means of exchange must be forced to circulate in a way that does not rely on interest. (Proposals have been made for a slight yearly devaluation of circulating cash which would prevent cash from being hoarded, thereby forcing circulation.)

[교환의 수단으로서의 돈은 이자에 영향받지 않고 강제적으로 유통시켜야 한다. ( 해마다 화폐의 적절한 평가절하를 시행하여 돈이 한 곳에 축적되지 못하게 만들고, 그러므로 돈은 순환된다.) ]

 

In this way, interest rates would diminish to eventually reach zero. The loaning out of money by the banks would be paid for by a small percentage to compensate for the risk, that would however not be tied to the time of the loan and would not be causing a yearly increase of the capital.

[이 방법으로 이자율은 감소되어 결국 제로가 될 것이다. 은행의 금전대출은 시간에 연계된 이자로 해마다 자본이 증가되는 것이 아닌 약간의 위험부담액만을 추가한 것이 된다.]

 

The writings of Silvio Gesell (mostly in German but some books and brochures are available in English) are sold by INWO,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a Natural Economic Order.

Silvio Gesell의 책은 ( 대부분 독일어로 출판되었으나 영문번역판도 있다 ) INWO, 자연적 경제질서를 위한 국제연합 (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a Natural Economic Order )에서 판매한다. 

 

Addresses:
주소: 

INWO Switzerland Nussbaumweg 1 CH-8353 Elgg - Switzerland

(Website in German)

INWO Austria Staudingergasse 11 A-1200 Vienna - Austria

INWO Germany Jakobstrasse 54 D-7750 Konstanz - Germany

(Website in German)

Gesell has, besides a reform of the monetary order, proposed a reform of the ordering of land ownership, which would have to be undertaken in concert with a monetary reform to prevent property speculation from taking the upper hand but which, for reasons of space, cannot be discussed in the present article.

[화폐질서의 재편외에도, Gesell은 부동산소유의 권한에 대해서도 새로운 질서를 제안하고 있다. 이것은 기득권의 투기를 방지하기위해 재편되는 새로운 경제질서에서 꼭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내용은 이문건에서 공간의 제약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Josef Hasslberger

Rome, Italy

January 1992

 

 

출처